인터넷뱅킹 및 기타 온라인 업무에서 본인 확인의 필수로 사용되고 있는 공인인증서!
많이들 사용하고 계실텐데요, 혹시 '범용 공인인증서'라고 들어보셨나요?
저는 범용 공인인증서의 존재를 몰랐다가 올초에 핸드폰을 알뜰폰 통신사로 바꾸는 과정에서 범용 공인인증서를 요구하여 처음 알게 되었는데요, 우리가 흔히 쓰고 있는 무료 공인인증서는 '은행/보험용'이고, '범용'은 좀 더 폭넓게(?)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 4,400원의 발급 수수료가 요구되는 인증서랍니다.
웬만한 곳에서는 무료 공인인증서면 OK입니다만, 만약 범용 공인증서를 요구하는 곳이 있다면 당황하지 마시고 인터넷으로 신청하시면 되겠습니다.
타은행에서도 가능하지만 저는 농협에서 발급, '농협에서 범용 공인증서를 발급받는 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범용 공인인증서를 발급받기 위해서는 우선 농협 인터넷뱅킹에 가입이 되어 있어야 합니다.
만약 가입이 되어 있지 않으시다면 신분증을 들고 가까운 농협으로 직접 찾아가 인터넷뱅킹을 먼저 신청하시기 바랍니다.
농협 인터넷뱅킹에 가입이 되어 있다면, 인터넷뱅킹 사이트에 접속 '공인인증센터'로 들어갑니다.
공인인증센터로 이동하셨으면 '공인인증서 > 공인인증서 발급/재발급'을 클릭합니다.
이후 총 6단계를 거치게 되는데 1단계에서는 '이용자 ID'와 주민(사업자) 등록번호'를 입력하고, '인증서 구분'에서 '범용 공인증서(발급 수수료 4,400원)'을 선택합니다.
2단계에서는 '약관 동의'와 함께 범용인증서의 발급기관을 선택해야 하는데, 발급처는 '한국정보인증'과 '코스콤' 두 가지가 있습니다.
저는 어감 상 왠지 더 신용이 간다는 지극히 개인적인 느낌을 따라 '한국정보인증'을 선택했습니다.^^
3단계에서는 발급수수료 4,400원이 인출 될 통장의 '계좌번호'와 '계좌 비밀번호'를 입력합니다.
CMS계좌와 카드 결제는 안 되니 이 점 꼭 숙지해 주세요.
이어서 '휴대폰SMS 본인명의인증'과 '보안정보 입력' 절차를 차례로 따릅니다.
4단계에서는 필수 입력 항목인 '성명'과 '전화번호'를 입력합니다.
5단계에서는 발급수수료 출금 정보를 확인 후 '인증서 받기'를 눌러 저장 위치를 선정합니다.
저장 위치는 '하드디스크', '이동식디스크', '휴대폰' 중에서 선택하실 수 있습니다.
선택 후에는 앞으로 이용할 인증서 암호를 입력합니다.
인증서의 암호는 대소문자를 구분하여 숫자+알파벳+특수기호 조합으로 만듭니다.
5단계까지 거치면 발급 완료!
6단계에서는 발급 수수료에 대한 영수증 발급을 원할 경우 '수수료납부 확인증 발급'버튼을 눌러 출력하시면 됩니다.
이상 농협에서 '범용 공인인증서 발급받는 법'을 알아보았습니다.
범용 공인인증서는 첫 발급 시 4,400원의 수수료가 들지만, 발급일로부터 1년 이내에 재발급 시에는 무료라고 하니 잊지 마시고 기간 내에 꼭 재발급 받으시기 바랍니다.
신한 한달애저금통, 월스윙일 변경하는 법 (1) | 2020.03.10 |
---|---|
신한 한달애저금통으로 연 이자 4% 챙기기 (1) | 2020.03.10 |
농협 공인인증서 스마트폰에서 PC로 옮기기 (10) | 2017.09.05 |
카드 포인트 통합 조회하기_잠들어 있는 카드 포인트를 깨워보자! (10) | 2017.02.09 |
계좌정보통합관리서비스(어카운트인포)로 휴면계좌 한방에 정리하기! (8) | 2017.01.07 |